Skip to main page content
U.S. flag

An official website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Dot gov

The .gov means it’s official.
Federal government websites often end in .gov or .mil. Before sharing sensitive information, make sure you’re on a federal government site.

Https

The site is secure.
The https:// ensures that you are connecting to the official website and that any information you provide is encrypted and transmitted securely.

Access keys NCBI Homepage MyNCBI Homepage Main Content Main Navigation
Guideline
. 2025 Oct;48(4):e68.
doi: 10.12771/emj.2025.00934. Epub 2025 Oct 27.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using Mendelian randomization (STROBE-MR): a Korean translation of explanation and elaboration

Affiliations
Guidelin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using Mendelian randomization (STROBE-MR): a Korean translation of explanation and elaboration

Veronika W Skrivankova et al. Ewha Med J. 2025 Oct.

Abstract

멘델 무작위화(Mendelian randomization, MR) 연구는 조절 가능한 노출(modifiable exposure)이 건강결과에 미치는 인과효과(causal effect)를 더 잘 이해하게 해 주지만, 그 근거는 종종 보고가 불충분함으로 인하여연구 결과의 해석과 적용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보고지침은 흔히 무슨 연구를 하고 무엇을 발견했는지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STROBE-MR(관찰연구의 멘델 무작위화를 활용한 보고지침)은 MR 연구를 명확하고 투명하게 보고하도록 돕는다. STROBE-MR을 논문 작성에 활용하면 독자, 심사자, 학술지 편집인이 MR 연구의 보고 품질과 완성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은 STROBE-MR 체크리스트 20개 항목의 의미와 근거를 설명하고, 각 항목마다 사례를 제시해 독자가 잘 이해할 수 있는 논문 작성법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PubMed Disclaimer

Conflict of interest statement

Conflict of interest

All authors have completed the ICMJE uniform disclosure form at www.icmje.org/disclosure-of-interest/ and declare: support from the SNSF, NIHR Biomedical Research Centre at University Hospitals Bristol, Weston NHS Foundation Trust, and University of Bristol for the submitted work; no financial relationships with any organisations that might have an interest in the submitted work in the previous 3 years; EWL (head of research at The BMJ) played no part in the peer review or decision making of this paper at the editorial level, and contributed solely as an author; no other relationships or activities that could appear to have influenced the submitted work.

Figures

Fig. 1.
Fig. 1.
도구변수(IV) 분석의 가정을 보여 주는 표준 인과도. 유전변이 G를 노출 X의 도구변수(대리변수)로 사용해, 결과 Y에 대한 X의 인과효과를 평가한다. IV 가정은 다음과 같다: I. 관련성: 유전변이 G는 관심 노출 X와 관련되어 있다. II. 독립성: 유전변이 G는 결과 Y와 공유하는 미측정 원인이 없다. III. 배제 제한: 유전변이 G는 관심 노출 X에 대한 잠재적 효과를 통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과 Y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선 화살표=인과효과; 점선 화살표=IV 가정에 의해 금지되는 인과효과. 참고로, IV 가정을 만족하는 인과도는 다른 방식으로도 그릴 수 있다(예: 유전변이 G가 노출 X를 직접 원인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도식에 그려지지 않은 다른 경로는 IV 가정을 위반할 수 있다(예: 선택 편향은 독립성 가정을 위반할 수 있음).
Fig. 2.
Fig. 2.
멘델 무작위화 연구 유효성 검증을 통과한 UK Biobank 참가자 수. 그림은 Mountjoy 등, 2018에서 허가받아 재수록함[87].
Fig. 3.
Fig. 3.
“불면 증상의 인과적 관계. (A) 잦은 불면 증상과 관련된 SNP와 관상동맥질환(CAD) 간의 관련성을 제시한다. 각 대립유전자(allele)당 잦은 불면 증상 위험과의 관련성(가로축) 대비, 각 대립유전자당 CAD 위험과의 관련성(세로축)을 산점도로 표시하였으며, 각 점을 둘러싼 검은색 세로ㆍ가로 선은 각 다형성의 95% 신뢰구간(CI)을 나타낸다. 세 가지 서로 다른 MR 관련성 검정결과를 함께 제시한다. (B) 유전적으로 증가한 불면 위험이 CAD에 미치는 효과 추정치를 포레스트 플롯으로 제시한다. 가장 가까운 유전자는 플롯 오른쪽에 표시한다. 각 SNP에 대해 추정치의 95% CI(회색 선분)와 IVW MR, MR-Egger, 가중 중앙값(weighted-median) MR 결과(빨간색)를 함께 제시한다. MR 분석에 사용한 각 GWAS의 표본 크기는 다음과 같다: 잦은 불면 증상(사례 n=129,270; 대조군 n=108,352), CAD(사례 n=60,801; 대조군 n=123,504).” 도판은 Lane 등(2019)에서 허가를 받아 재인용하였다[98].
Fig. 4.
Fig. 4.
Leave-one-out 분석. 도판은 Wootton 등(2018)에서 허가를 받아 재인용하였다[39].

References

    1. Smith GD, Ebrahim S. Data dredging, bias, or confounding. BMJ. 2002;325:1437–1438. doi: 10.1136/bmj.325.7378.1437. https://doi.org/10.1136/bmj.325.7378.1437 . - DOI - PMC - PubMed
    1. Lawlor DA, Davey Smith G, Kundu D, Bruckdorfer KR, Ebrahim S. Those confounded vitamins: what can we learn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observational versus randomised trial evidence? Lancet. 2004;363:1724–1727. doi: 10.1016/S0140-6736(04)16260-0. https://doi.org/10.1016/S0140-6736(04)16260-0 . - DOI - PubMed
    1. Taubes G. Epidemiology faces its limits. Science. 1995;269:164–169. doi: 10.1126/science.7618077. https://doi.org/10.1126/science.7618077 . - DOI - PubMed
    1. Sattar N, Preiss D. Reverse causality in cardiovascular epidemiological research: more common than imagined? Circulation. 2017;135:2369–2372. doi: 10.1161/CIRCULATIONAHA.117.028307.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7.028307 . - DOI - PubMed
    1. Ortola R, Garcia-Esquinas E, Soler-Vila H, Ordovas JM, Lopez-Garcia E, Rodriguez-Artalejo F. Changes in health status predict changes in alcohol consumption in older adults: the Seniors-ENRICA cohort.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9;73:123–129. doi: 10.1136/jech-2018-211104. https://doi.org/10.1136/jech-2018-211104 . - DOI - PubMed

Publication types

LinkOut - more resources